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농업정보13

사과 개화기 저온피해 예방시설 점검 하셔야 합니다. 개화기 저온 피해 예방 기상정보 수시 확인 등 예방시설 점검이 필수인데요, 사과, 배, 복숭아 등 주요 과수의 꽃 피는 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개화기 저온 피해 예방을 위한 시설을 점검해야 합니다 과수 개화기 저온피해를 방상팬, 미세살수장치 등을 활용하여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1. 과수 개화기 저온피해 예방 최근 이상기상에 의한 과수 개화 전과 후 저온 및 서리피해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데요, 과수 개화기의 저온 피해는 결실 불량, 변형과 발생 등 생산이 불안정하고 품질이 저하되어 큰 피해를 주게됩니다 일찍 개화하는 품종 일수록 저온 및 서리피해를 받을 확률이 높아지고 생육기가 빠른 남부지방 일수록 피해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화시 저온피해 증상으로 개화 시기 전과 후 피해를 받으면 암술머.. 2024. 4. 15.
4월 농사정보 밭작물, 채소, 과수 농업정보 1. 밭작물 농업정보 1) 봄철 맥류관리 논 포장과 배수가 불량한 곳은 양쪽에 보머리를 트고 배토기 등을 이용하여 배수구를 재정비하여 습해를 예방하도록 합니다 휴립광산파는 배수구를 깊게 파주고 평면세조파 포장은 7~10m 간격으로 배수구를 설치해주도록 합니다 붉은곰팡이병(적미병)은 밀과 보리에 발생하여 수량 피해 및 미숙립이 발생하고 발아율이 떨어지므로 등록된 약제를 살포해야 하는데요 발생 원인은 이삭이 패는 시기부터 이삭이 여물기 전까지 비가 잦고 95% 이상의 습도가 3~5일 동안 지속되면 발생합니다 1차 방제는 출수기에 실시하고 1차 방제 10일 후 2차 방제하도록 합니다. 2) 감자 여름재배 중부와 북부 고랭지에 아주심는 시기는 4월 중순 ~ 5월 상순인데요 초기 생육 촉진을 위해 아주심기 20~.. 2024. 4. 12.
시설재배지의 토양 염류 경감요령 얼만큼 알고 계신가요? 작물마다 좋은 품질과 많은 수량을 거두는 데 필요한 적정 토양의 비옥도와 시비량을 확인 할 수 있는 곳이 농촌진흥청인데요, 토양 그 자체가 큰 완충능력을 가지고 있어 농가가 많은 퇴비와 비료를 주어도 2~3년 동안은 작물에 큰 영향이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당장 작물의 외관적 피해 증상이 없더라도 많은 양의 퇴비와 비료를 예전 관행대로 계속 주게 된다면 머지 않아 토양 내 염류가 집적되고 작물의 수량은 눈에 띄게 줄어들기 시작하는데요, 하우스 토양 내 염류가 문제가 될 정도록 많은지 판단하는 방법과 토양 내 염류가 많으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3년 주기로 토양 진단 후 토양검정 시비량을 준수합니다 시비량 50~100% 줄이고 킬레이트 주기적으로 관주 하도록 합니다. 1. 토양 .. 2024. 4. 3.
3월 농사정보 벼, 밭작물, 채소, 과수 농업정보 길라잡이 1. 벼 농사정보 1) 모기르기 사전준비 재배 지역별 생태, 숙기, 용도를 고려하여 건전한 볍씨를 준비합니다 고품질 밥쌀용, 특수미, 가공용 등 용도에 맞는 품종 및 순도가 높고 고유특성이 잘 보존된 종자를 선택하도록 합니다 신품종 재배는 적응지역, 병해충 저항성 등 재배 안전성을 고려하도록 하고 종자는 손 또는 일관자동 파종기로 파종되므로 균일한 파종을 위해 소금물가리기 작업 전에 탈망 작업을 실시하며, 종자량은 모를 낼 논에 소요되는 육묘상자를 고려하여 약 10% 정도 여유 있게 준비하도록 합니다 모기르기에 필요한 모판흙, 상자, 소독약제 등의 자재를 준비하도록 하며 시판상토를 구입할 때는 시험연구기관의 위탁시험 결과가 첨부된 상토 중 우수하다고 인정되는 상토를 사용하도록 합니다. 2) 볍씨 고르기 .. 2024. 3.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