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각하는 농부의 농업정보

3월 농사정보 벼, 밭작물, 채소, 과수 농업정보 길라잡이

by 씽크파머 2024. 3. 14.
728x90
반응형

 

1. 벼 농사정보

 

1) 모기르기 사전준비

재배 지역별 생태, 숙기, 용도를 고려하여 건전한 볍씨를 준비합니다 고품질 밥쌀용, 특수미, 가공용 등 용도에 맞는 품종 및 순도가 높고 고유특성이 잘 보존된 종자를 선택하도록 합니다 신품종 재배는 적응지역, 병해충 저항성 등 재배 안전성을 고려하도록 하고 종자는 손 또는 일관자동 파종기로 파종되므로 균일한 파종을 위해 소금물가리기 작업 전에 탈망 작업을 실시하며, 종자량은 모를 낼 논에 소요되는 육묘상자를 고려하여 약 10% 정도 여유 있게 준비하도록 합니다 모기르기에 필요한 모판흙, 상자, 소독약제 등의 자재를 준비하도록 하며 시판상토를 구입할 때는 시험연구기관의 위탁시험 결과가 첨부된 상토 중 우수하다고 인정되는 상토를 사용하도록 합니다.

 

2) 볍씨 고르기 및 소독

까락제거 및 소금물가리기 자가 채종종자는 충실한 볍씨 선별을 위하여 까락제거 후 소금물가리기를 실시하도록 하며, 소금물가리기를 할 때 물의 비중은 메벼 1.13(물 20ℓ + 소금 4.24Kg), 찰벼는 비중 1.04(물 20ℓ + 소금 1.36Kg)가 적당합니다 소금물가리기는 3~10분 이내로 한 후 바로 깨끗한 물로 씻을 후 그늘에 말려 볍씨 소독까지 보관하거나 바로 볍씨 소독하도록 하며 보급종은 까락제거, 사전침지 및 소금물가리기 생략하도록 합니다. 약제침지소독법으로 진행 할 경우에 적용약제를 물 20ℓ에 종자 10Kg을 볍씨발아기(온탕소독기)를 사용하여 30℃에 48시간 담가 소독한 후 깨끗한 물로 2~3회 세척 후 싹틔우기를 실시하도록 합니다.

 

볍씨발아기 이용 종자소독 시 주의사항 / 출처 - 농진청

 

온탕소독방법은 물 100ℓ에 마른상태 벼 종자 10Kg을 60℃에 10분간 담가 소독하고 냉수에 10분 이상 종자를 담그도록 합니다 젖은상태 벼 종자 온탕소독 시 발아지장 및 물온도 저하로 소독효과를 경감할 수 있으며, 종자침종 균일한 싹틔우기를 위해 20℃, 5일간 담가 종자에 충분히 물을 흡수시키도록 합니다 침종기간은 물의 적산온도를 100℃를 기준으로 물 온도를 감안하여 결정 하도록 하며, 물 온도가 15℃일 경우 7일간 침종하도록 합니다 벼 품종별 발아특성을 고려하여 침종기간을 조정하도록 합니다.

 

싹틔우기는 침종한 종자는 물기를 제거한 후 30~32℃에 어두운 조건에서 보통 1일 정도 두어 하얀 싹 길이를 1mm 내외로 키우면 적당합니다 싹이 너무 길어지면 파종 작업할 때 싹이 부러지고 싹이 작으면 싹틀 때 모 키가 불균일하게 자라게 됩니다.

 

볍씨 싹틔우기 모습 / 출처-농진청

 

2. 밭작물 농사정보

 

1) 맥류 관리

잦은 강우로 인한 습해 및 갑작스러운 꽃샘추위 한파 피해 방지를 위해 포장 내 배수로 정비가 필요합니다 습해와 잎이 누렇게 변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물길 정비, 잎이 누렇게 되면 요소 2%액 (요소 400g/20ℓ, 살포량 100ℓ/10a)을 2~3회 뿌려주도록 합니다.

 

2) 감자 봄재배

아주심을 때 알맞은 감자싹의 길이는 3~5cm 정도이며 뿌리가 잘 발달해야 심은 후 뿌리내림이 양호하고 초기 생육도 왕성하게 됩니다 싹을 틔워 아주심는 시기는 남부지방은 3월 상순~중순이며 중부 지방은 3월 하순~4월 상순입니다 싹틔움상에서 너무 오랫동안 키워 잎이 전개된 씨감자는 뿌리가 많이 끊기고 수분 증산이 많아 뿌리내림이 늦어지므로 잎이 전개 되기 직전에 아주심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감자밭은 아주심기 하루 전이나 심는 날 땅을 고른 후에 이랑을 만들며 늦서리의 피해가 적은 지역에서는 일찍 심을 수록 좋습니다 싹틔움상에서 시감자를 채취할 때는 채취 하루 전 또는 2~3시간 전에 물을 충분히 주어 뿌리가 끊어지지 않게 하도록 하며, 아주심기 전에 이랑 사이는 1줄로 심는 경우 60~80cm로 하고 2줄로 심을 때는 이랑폭을 100cm 정도 만들어 포기사이를 20~30cm로 심습니다 비닐피복 재배할 때는 감자싹이 완전히 묻히도록 10~20cm 두께로 흙을 덮고 전용 제초제를 살포한 후 비닐로 덮어주도록 합니다.

 

3) 고구마 육묘

고구마 재배를 위해 10a에 필요한 묘는 4,500~7,100본 정도이고 매회 1,500~2,200본의 싹을 생산할 수 있는 씨고구마를 준비하도록 합니다 씨고구마는 1kg에 묘 생산량은 20~30개이므로 10a에 필요한 양은 75~100kg 정도입니다 큰 씨고구마는 작은 씨고구마에 비하여 싹이 튼튼하고 좋으나 같은 중량에서 생산되는 싹의 수가 적으며, 작은 씨고구마는 같은 중량에서 생산되는 싹의 수가 많으며 육묘 환경만 좋으면 우수한 싹을 새안할 수 있습니다 씨고구마의 선택은 병들지 않은 건전한 고구마, 품종 고유의 특성을 가진 고구마, 저장 중 냉해를 입지 않은 고구마, 재배작형에 알맞은 품종 선택이 중요합니다.

 

검은무늬병, 건부병 등의 피해를 입은 고구마는 사용하지 않으며, 냉해를 입은 고구마는 양끝이 갈색으로 썩은 것이 많고 잘라보면 광택이 없으며 유액이 적게나옵니다 8월에 햇고구마를 출하하는 경우 괴근 비대가 빠른 주요품종으로 풍원미, 신자미 등이 있으며, 씨고구마로 전염되는 검은무늬병, 검은점박이병 등의 병 발생이 우려되므로 전용약제 분의 소독 또는 47~48℃에 40분간 온탕소독 실시하도록 합니다 묘상의 폭은 120~130cm가 묘상관리 및 채묘작업에 용이하고 묘상과 묘상사이는 30cm가 적당합니다 씨고구마를 묻고 1차 채묘까지의 기간은 비닐하우스 안에서 전열 온상은 30일, 양열온상은 40일 정도입니다.

 

4) 밭작물 종자공급 및 영농 사전준비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재배방법에 따라 우량종자를 준비하도록 하며, 약제 및 전용비료 등 각종 자재는 미리 준비하도록 합니다 종자의 수명과 활력을 오래 유지하려면 알맞은 저장온도와 습도에 보관하고 병충해, 쥐 피해 등을 받지 않도록 관리합니다 감자 저장조건은 온도 3~4℃, 습도 85~90% 이며, 고구마 저장조건은 온도 12~15℃, 습도 85~90% 입니다 봄감자 재배용 씨감자가 흑색심부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바람이 잘 통하는 플라스틱 상자에 보관하고 저장고 내 환기를 철저히 실시하도록 합니다.

 

콩 및 팥 정부보급종 종자 신청은 보급종은 품종 특성을 미리 알아보고 해당 지역에 공급되는 품종을 기간 내에 시군농업기술센터, 읍면 농업인상담소(읍면동 농업인상담소가 없을 경우 읍면사무소)에 희망 품종과 물량을 신청 하도록 합니다.

 

콩 및 팥 정부보급종 일반신청 추진일정 / 농진청

 

콩 및 팥 품종별 특성표 / 출처-농진청

 

3. 채소 농사정보

 

1) 시설 수박

열매가 정상적으로 달려(착과기) 자라게 하려면 최소 15℃ 이상의 온도를 유지해야합니다 밤낮 기온 차가 크거나 최저 온도가 15℃ 밑으로 떨어지면 수꽃의 꽃밥 터짐(개약)이 좋지 않고 꽃가루 힘(활력)이 떨어져 열매가 제대로 열리지 않으며 기형 열매 발생이 증가하게 됩니다 온실에 부직포 등 보온자재를 준비하거나 아주심기 전 전열선 등을 설치해 갑작스런 추위에 대비해야 합니다.

 

수정 3~4일 전 토양 수분 상태를 관찰하고 건조한다면 미리 물을 주고 열매가 갓 달리기 시작할 때 물을 주면 열매보다 식물체 자람이 왕성해져 열매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열매 크기는 수정 후 12일 안에 결정되므로 열매가 달린 뒤에는 토양 수분 상태에 따라 2~3일 간격으로 물을 주고 질소와 칼륨질비료를 공급 하고 수정은 식물체가 충분히 자라서 적정 잎 수를 확보한 상태에서 시도 최저기온이 15℃ 내외이면 어미덩굴은 20마디 이상, 아들 덩굴은 15마디 이상 됐을 때 열매 맺도록 해야 상품 가치가 있는 수박 비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당도를 높이려면 식물체가 햇빛을 충분히 받도록 조치하고 웃거름은 열매 달림 후 20일 이내까지 주고, 마그네슘은 초기부터 열매 달림 후 2주까지 엽면시비를 실시하도록 합니다 토양 특성에 따라 수확 10~15일 전 물대기를 멈춰야 당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2) 고추

햇빛이 부족하게 되면 과실이 달리는 마디 부위가 상승하고 꽃수가 감소하며 꽃의 소질이 떨어지므로 육묘기간 중 햇빛을 충분하게 받도록 해 주어야 합니다 고추 육묘는 보온위주 관리이기 때문에 고온장해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환기에 유의하도록 하며 고온이나 저온장해가 발생할 때는 생육에 따라 요소 0.2~0.3% 엽면시비를 실시합니다 제 1분지의 첫 꽃이 개화하기 전후가 정식에 알맞을 때이고 초세가 약한 품종은 다소 어린묘를 정식하고, 강한 품종은 다소 늦게 정식 하도록 합니다.

 

좋은 고추묘 조건 / 출처 - 농진청

 

4. 과수 농사정보

 

1) 좋은 묘목 선택요령

과수는 영년생 작물로 초기비용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좋은 묘목의 선택은 과원 경영의 성공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오늘은 사과, 배, 포도, 복숭아, 단감의 묘목 고르는 요령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사과

품종이 정확하여야 하며, 대목은 자근으로 잔뿌리가 많고 심을 토양에 알맞아야 합니다 병해충(바이러스)이 없어야 하며, 마디가 굵고 짧으며 충실한 잎눈이 붙어 있어야 합니다 재식 후 토양이 안정된 상태에서 대목을 15~20cm 정도 노출 시킬 수 있어야 하며, 접목부위 위쪽 10cm 위치의 줄기 직경이 11mm 이상이면 적합합니다 접목부위에서 40cm 윗부분 부터 길이 30~60cm 측지가 10개 이상 발생된 묘목이면 좋습니다 측지는 분지 각도가 넓고 세력이 너무 강하지 않으며 공간적으로 골고루 위치하면 좋습니다.

 

-- 배

영년생 작물로서 품종이 정확하지 않으면 큰 피해를 받게 되므로 정확한 품종을 선택하도록 하며, 뿌리의 절단면이 적고 발달이 좋고 생기가 있으며 나무껍질은 윤기가 있어야 합니다 가능한 한 뿌리가 많이 상하지 않게 잘 굴취한 묘목을 선택하여 포장이나 수송 시 잎눈이 상하지 않도록 주의하도록 하며, 마디가 굵고 짧으며 충실한 잎눈이 잘 붙어 있는 묘목, 웃자란 묘목은 재식 후 가지 발생이 적고 겨울철 동해나 건조에 약하여 고사하는 일이 많습니다 또한 병해충이 없어야 하는데요 묘목에 발생하기 쉬운 병해충은 날개무늬병, 뿌리혹병, 검은별무늬병, 깍지벌레류 등이 있습니다.

 

-- 포도

품종과 대목이 확실한 것, 가지가 굵고 마디사이가 짧으며 충실하고 웃자라지 않은 것 뿌리가 많고 곧게 뻗은 것, 굵은 뿌리와 잔뿌리가 적당히 섞였으며 2단 또는 3단 뿌리가 아니고 최하부에서 뿌리가 발생한 것, 건조되지 않고 병해충의 피해가 없는 것 접목묘는 접목부가 잘 접착하여 이상이 없는 것이 좋습니다.

 

-- 복숭아

동해 피해에 강한 품종, 즉 기상환경에 맞는 품종을 선택 뿌리혹병 등 병해충에 감염되지 않고 잔뿌리가 많이 살아있는 묘목을 선택하도록 합니다 꽃가루가 없는 품종은 반드시 수분수 품종을 식재하도록 합니다.

 

-- 단감

접목부 직경이 1.2cm 이상으로 굵으며 마디와 마디사이가 짧고 눈이 충실한 것 곧은 뿌리와 함께 곁뿌리와 잔뿌리가 많아야 하며 뿌리의 절단면은 변색되지 않은 싱싱한 상태의 것이어야 합니다 일찍 캐내어 가식 기간이 길었거나 가식 횟수가 많은 묘목이나 특별한 포장 없이 먼 거리를 운반하는 묘목은 뿌리가 괴사하거나 활력이 낮아지기 쉽습니다 탄저병, 검은별무늬병, 뿌리혹병 등에 걸리지 않은 것이 좋습니다.

 

2) 묘목 심기

묘목은 낙엽이 진 후 땅이 얼기 전에 심는 가을심기와 이듬해 봄에 땅이 풀린 다음 심는 봄 심기가 있습니다 겨울이 춥고 건조한 지역에서는 가급적 봄에 심는 것이 언 피해 등을 줄일 수 있습니다 봄 심기는 뿌리가 활동하기 이전인 이른 봄에 토양이 해빙되면 즉시 심어야 하는데, 늦어도 3월 중순 및 하순까지는 심어야 합니다 심는 시기가 늦어질수록 발아가 더디고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도 불량해집니다 봄에 심을 경우는 뿌리가 흙과 잘 밀착되도록 하고 뿌리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흙을 덮고 물을 10~20ℓ 준 다음 물이 흡수된 후 복토해야 생육이 좋아집니다 심는 거리는 과종, 토양의 비옥도, 품종의 수세, 나무모양 및 전정방법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토양이 비옥하고 수세가 강한 품종일수록 심는 거리를 넓히고 척박한 토양이나 수세가 약한 품종일 경우는 좁혀서 심습니다.

 

3) 저온피해 예방시설 사전점검

저온피해 상습발생 지역 및 늦서리 발생이 우려되는 과원에서는 예방시설 사전 점검이 필요합니다 관수시설 점검 및 가동 시 물이 부족하지 않도록 사전가동이 필요하며, 과수나무 위에 6m 이상 높이로 방상팬을 설치하여 가동하도록 합니다 발아 직전 2℃ 전후, 개화기 이후에는 3℃ 정도로 설정하여 일출 이후까지 팬을 가동하도록 합니다.

 

4) 복숭아 월동병해충 방제

 

-- 동계약제

동계약제 방제는 2월 중순부터 개화기 사이에 진행되는데요, 동계약제는 연속해서 다른 약제를 살포하면 약해가 발생하거나 약효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살포하도록 합니다 2월 중순 및 하순경 기계유유제 살포를 시작으로 30일 뒤에 석회유황 합제를 살포, 20~30일 후(개화 직전~개화초기)에 석회보르도액을 살포하도록 합니다.

 

-- 기계유유제

깍지벌레, 응애류, 진딧물 등 해충을 방제하는 효과가 있는 기계유유제 방제는 해충 표면에 얇은 피막을 형성하고, 해충의 호흡을 막아 질식시키는 원리로 살충 작용을 합니다 나무 수세가 약하거나 유목인 경우 살포 여부를 신중히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석회유황합제

잎오갈병, 잿빛무늬병, 흰가루병 등 병해충 방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주로 살균제로 사용하고 있으나 살충효과도 볼 수 있습니다 선단부 중심을 철저히 살포하며, 약액 건조 후 닿지 않는 곳에 추가로 살포하도록 하며 금속을 부식시키는 성질이 있어 금속제 도구 사용은 피하고 철저히 세척하도록 합니다.

 

-- 석회보르도액

유산동, 생석회의 혼합물로 세균구멍병 등 방제 효과가 있습니다 약효 지속력이 크고, 비교적 광범위한 병원균에 유효한 살균제로 석회보르도액은 개화 직전에 살포하며 완전히 건조한 뒤 막을 형성 하여야 약효가 나타나므로 비가 오기 직전이나 직후에는 살포를 피해야 합니다 복숭아는 생육(고온기) 살포는 약해를 유발하므로 잎이 있는 시기에는 유사한 약제인 아연보르도액을 사용하도록 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