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각하는 농부의 농업정보

2월 밭작물, 채소, 과수 본격 농번기 농업정보

by 씽크파머 2024. 2. 24.
728x90
반응형

본격 농번기 시작! 농업정보 여기서 / 출처-구글

 

1. 밭작물 농업정보

 

1) 맥류 관리

2월 중순 및 하순경 식물체를 뽑아보면 새 뿌리가 2~3개 돋아나오는 것을 확인하여 웃거름 주는 시기를 결정해야 합니다 2월 상순 지상 1cm 부위에서 잎을 잘라놓고 속잎의 신장이 관찰되면 재생기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밀, 보리의 웃거름 주는 시기는 남부지방은 2월 중순 ~ 하순, 중북부지방은 2월 중순 및 하순이며 웃거름 표준시비량은 10a에 요소 비료 9~12kg 이 적당 합니다.

 

웃거름을 2회로 나누어 주는 것이 좋으나 노력 절감을 위해 전량 1회에 주기도 합니다 토성이 사질토나 작황이 극히 불량한 포장은 2회로 나누어 주고 늦추위로 뿌리 자람이 지연될 경우 1차 웃거름을 다소 늦추어 주도록 합니다 청보리 등 조사료용은 일반 보리보다 30% 정도 비료를 더 많이 사용합니다.

 

습해방지 대책으로 재배지 주변과 중앙 배수구를 깊이 파서 지하수위가 50cm 이상 되도록 깊이 설치하도록 하며, 습해로 황화현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요소 2% 액을 엽면시비하여 생육 회복을 도모하도록 합니다.

 

2) 감자 재배

수확시기 감자터짐(실금) 예방을 위한 수확요령으로, 감자 뿌리로부터 수분흡수가 계속되고 있는 경우 덩이줄기가 팽만한 상태로 기계수확 시 물리적인 충격을 받아 터질 수 있으므로 수확 10일경 전부터는 관수를 중단하도록 합니다 수확 하루 전 미리 줄기를 뽑거나 순치기를 하면 뿌리 수분흡수가 차단되어 덩이줄기 내부팽압 상승을 막고, 감자껍질의 큐어링이 촉진되어 감자터짐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트랙터부착형 굴취기(수확기)로 캘 경우 캐는 속도가 빠를수록 터짐 증상이 증가하므로 굴취 속도를 저속으로 하여 터짐 발생률을 낮춰주도록 하며, 비료를 과잉 공급하면 수확 전까지도 잎줄기가 말라 죽지 않고 녹색을 유지하여 덩이줄기 성숙이 늦어짐에 따라 터짐 증상이 발생합니다 봄재배는 감자 파종 예정일부터 약 20~30일 전에 산광싹틔우기를 실시하여 감자를 심은 후 싹이 빨리 올라오도록 해야 합니다 남부지방의 산광싹 틔우기는 2월 중순~하순에 실시하고 3월 상순~중순에 아주심기를 실시하도록 합니다.

 

산광싹틔우기는 15~20℃의 온도와 관계습도 80~85%를 유지하고 30~50% 차광망을 설치한 온실이나 하우스 내에서 실시하도록 합니다 또한 낮에는 25℃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환기를 시켜주며 밤에는 5℃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보온하도록 합니다.

 

감자 산광싹틔우기 시작 일정 / 출처-농진청

 

3) 고구마 육묘

고구마 재배를 위해 10a에 필요한 묘는 4,500~7,100본 정도이고 매회 1,500~2,200본의 싹을 생산할 수 있는 씨고구마를 준비하도록 합니다 씨고구마 1kg에 묘 생산량은 20~30개이므로 10a에 필요한 양은 75~100kg 정도입니다 씨고구마의 선택은 병들지 않은 건전한 고구마, 품종 고유의 특성을 가진 고구마, 저장 중 냉해를 입지 않은 고구마, 재배작형에 알맞은 품종 선택이 중요합니다.

 

검의무늬병, 건부병 등의 피해를 입은 고구마는 사용하지 않도록 하며, 냉해를 입은 고구마는 양끝이 갈색으로 썩은 것이 많고 잘라보면 광택이 없으며 유액이 적게 나옵니다 온상에 묻기 전에 침투성 살균제로 소독하거나 온탕소독은 47~48℃에서 40분간 침지하도록 합니다 씨고구마를 묻은 후 1차 채묘까지의 기간은 전열온상과 양열온상에서는 40일, 최아비닐냉상 50일, 비닐냉상 50~60일, 비닐하우스 내에 설치한 전열온상에서는 30일 정도 기간이 소요 됩니다.

 

묘상의 폭은 120~130cm가 묘상관리 및 채묘작업에 용이하며 묘상 사이는 30cm가 적당하고 길이는 묘상의 크기에 따라 조정하도록 합니다 상토가 너무 얕으면 건조하기 쉽고 뿌리가 충분히 뻗지 못하며 너무 깊으면 온도가 잘 오르지 않으므로 상토는 한쪽에서부터 차례로 펼쳐야 합니다 전열온상은 묘판 구덩이를 30cm 정도로 파고 맨 밑에 10cm 두께로 짚, 왕겨를 넣거나 50mm 두께의 스티로폼으로 단열시킨 다음 모래나 상토를 3~5cm 두께로 깔고 전열선을 설치한 후 상토를 15~18cm 두께로 넣습니다.

 

조기재배의 육묘상 설치시기는 남부지방 비닐터널은 2월 상순~중순 이고 중부지방 터널재배는 3월 중순입니다 씨고구마는 싹이 트기까지 묘상에서는 가급적 고온인 30~33℃를 유지하고 싹이 튼 후에는 23~25℃로 조절하며 충분히 관수하여 씨고구마가 마르지 않도록 함깊으면 온도가 잘 오르지 않으므로 상토는 한쪽에서부터 차례로 펼쳐야 합니다.

 

4) 밭작물 종자공급 및 영농 사전준비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재배방법에 따라 우량종자를 준비하도록 하며 약제 및 전용비료 등 각종 자재는 미리 준비하도록 합니다 종자의 수명과 활력을 오래 유지하려면 알맞은 저장온도와 습도에 보관하고 병충해, 쥐 피해 등을 받지 않도록 관리하도록 합니다 감자의 저장조건은 온도 3~4℃,  습도 85~90% 이며, 고구마 저장조건은 온도도 12~15℃ 습도 85~90% 이며, 봄감자 재배용 씨감자가 흑색심부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바람이 잘 통하는 플라스틱 상자에 보관하고 저장고 내 환기를 철저히 실시하도록 합니다.

 

콩 및 팥 정부보급종 종자 신청은 보급종은 품종 특성을 미리 알아보고 해당 지역에 공급되는 품종을 기간 내에 시군농업기술센터, 읍면 농업인상담소(읍면동 농업인 상담소가 없을 경우 읍면사무소)에 희망 품종과 물량을 신청 하도록 합니다.

콩 / 팥 정부보급종 종자 신청 시기 / 출처-농진청

 

2. 채소 농업정보

 

1) 마늘 및 양파

얼었던 땅이 풀리면 웃거름을 주도록 하고 생육 상태에 따라 비료량을 조절하여 너무 많은 양을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고형비료를 직접 살포해 주는 대신 물에 녹여 물비료를 만들어 주면 비료의 손실도 방지되고, 효율이 높아지는데요, 이때 언 피해 방지를 위해 비닐을 씌운 곳은 피복재를 제거하면서 1차 웃거름을 주도록 합니다 뿌리가 충분히 자라지 못한 포장에서 땅이 얼었다가 녹을 때 서릿발 피해가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솟구쳐 올라온 포기는 즉시 땅에 잘 눌러주고, 뿌리가 완전히 묻히도록 흙덮기를 실시하도록 합니다.

 

잡초의 발생이 많으면 양파 수량에 영향을 미치므로 조기에 제초해 주도록 하고 작업 시에는 뿌리나 잎이 손상되지 않도록 합니다 한지형 마늘은 잎(싹)이 10~15cm 정도 자랐을 때, 맑고 따뜻한 날 2~3일 전에 구멍을 내어 순화시킨 후 비닐 밖으로 꺼냅니다 20cm 이상일 때 꺼내면 마늘싹이 상처를 받기 쉽고 작업도 불편합니다.

 

연약하게 자란 포장이나 물빠짐이 불량한 곳에서 노균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용약제를 살포하여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2월 하순~3월 상순 무렵 강우가 1회(15mm 이상)라도 있을 경우 등록약제로 방제를 실시하여 2차 피해를 예방합니다 흑색썩음균핵병은 아랫잎부터 황갈색으로 변하며 구근에 흰 균사가 발생하여 껍질이 검게 변하면서 물러 썩는 병으로 지상부 전체가 시들어 노랗게 마르게 됩니다 습한 토양에서 피해가 크므로 물빠짐(배수) 관리와 함께 초기에 적용 약제로 방제하도록 합니다.

 

마늘 흑색썩음균핵병 및 양파 흑색썩음균핵병 / 출처-농진청

 

2) 고추

육묘 중기는 본잎이 2~3매 정도 나와 묘가 왕성하게 발육하는 단계로 균형적인 생육을 하도록 하기 위해 광합성을 촉진하고 양분전류가 합리적으로 일어나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햇빛이 부족하게 되면 과실이 달리는 마디 부위가 상승하고 꽃수가 감소하며 꽃의 소질이 떨어지므로 육묘기간 중 햇빛을 충분하게 받도록 해 주어야 합니다 보온 위주로 관리하면 고온장해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환기관리가 중요하며, 저온기에는 물을 조금씩 자주 주는 것보다 한번에 뿌리 밑까지 젖도록 주어야 온상 내의 온도가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육묘 중 저온피해를 받았을 경우 응급처치로 요소 0.3%(물 20리터당 요소 60g) 액을 잎에 뿌려주어 생육을 회복시키도록 합니다.

 

3) 봄배추

모기르기 후기에 비료가 부족한 경우도 있으므로 아주심기 약 일주일 전부터 요소 0.1% 액을 2~3일 간격으로 뿌려주어 생육을 촉진합니다 물주는 시기는 가장자리 모가 약간 시들어 보일 때 충분한 양의 물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자주 물을 주면 모가 웃자라기 쉬우므로 주의 하도록 하며 육묘상의 온도를 최저 13℃ 이상으로 관리하여 추대(꽃대 신장) 예방을 하도록 합니다

 

저온에 의한 배추 추대 발생 모습 / 출처-농진청

4) 시설채소

보온용 커튼이나 피복재는 해가 뜨는 즉시 걷어 주어 햇빛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하고 해가 지기 전에 덮어서 보온력을 높여주도록 합니다 낮에는 환기를 알맞게 하여 과습 예방 및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도록 하며, 겨울철 물주기는 오전 중에 주도록 하고 하우스 안의 습도가 높지 않도록 환기관리를 실시하도록 합니다 일상점검을 통한 화재를 사전에 예방하고 온실 화재는 전기와 화기취급 부주의로 발생하므로 사전에 철저하게 점검하고 안전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과수 농업정보

 

1) 좋은 묘목의 선택 요령

 

★ 사과

사과는 품종이 정확하여야 하고 대목은 자근으로 잔뿌리가 많고 심을 토양에 알맞아야 하는데요 병해충(바이러스)이 없어야 하며, 마디가 굵고 짧으며 충실한 잎눈이 붙어 있어야 합니다 재식 후 토양이 안정된 상태에서 대목을 15~20cm 정도 노출 시킬 수 있어야 하며 접목부위 위쪽 10cm 위치의 줄기 직경이 11mm 이상이면 적합, 접목부위에서 40cm 윗부분 부터 길이 30~60cm 측지가 10개 이상 발생된 묘목이면 좋습니다 측지는 분지 각도가 넓고 세력이 너무 강하지 않으며 공간적으로 골고루 위치하면 좋습니다.

 

★ 배

영년생 작물로서 품종이 정확하지 않으면 큰 피해를 받게 되므로 정확한 품종을 선택하도록 하며 뿌리의 절단면이 적고 발달이 좋고 생기가 있으며 나무껍질은 윤기가 있어야 합니다 가능한 뿌리가 많이 상하지 않게 잘 굴취한 묘목을 선택하여 포장이나 수송 시 잎눈이 상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마디가 굵고 짧으며 충실한 잎눈이 잘 붙어 있는 묘목, 웃자란 묘목은 재식 후 가지 발생이 적고 겨울철 동해나 건조에 약하여 고사하는 일이 많습니다 병해충이 없어야 하며, 묘목에 발생하기 쉬운 병해충은 날개무늬병, 뿌리혹병, 검은별무늬병, 깍지벌레류 등이 있습니다.

 

★ 포도

포도 나무는 품종과 대목이 확실한 것으로 하고 가지가 굵고 마디사이가 짧으며 충실하고 웃자라지 않은 것이며, 뿌리가 많고 곧게 뻗은 것, 굵은 뿌리와 잔뿌리가 적당히 섞였으며 2단 또는 3단 뿌리가 아니고 최하부에서 뿌리가 발생한 것, 건조되지 않고 병해충의 피해가 없는 것 접목묘는 접목부가 잘 접착하여 이상이 없는 것이 좋습니다.

 

★ 복숭아

동해 피해에 강한 품종으로 즉 기상환경에 맞는 품종을 선택해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뿌리혹병 등 병해충에 감염되지 않고 잔뿌리가 많이 살아있는 묘목 꽃가루가 없는 품종은 반드시 수분수 품종을 식재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 단감

접목부 직경이 1.2cm 이상으로 굵으며 마디와 마디사이가 짧고 눈이 충실한 것, 곧은 뿌리와 함께 곁뿌리와 잔뿌리가 많아야 하며 뿌리의 절단면은 변색되지 않은 싱싱한 상태의 것이어야 합니다 일찍 캐내어 가식 기간이 길었거나 가식 횟수가 많은 묘목이나 특별한 포장 없이 먼 거리를 운반하는 묘목은 뿌리가 괴사하거나 활력이 낮아지기 쉽습니다 탄저병, 검은별무늬병, 뿌리혹병 등에 걸리지 않은 것이 좋습니다.

 

2) 묘목 심기

묘목은 낙엽이 진 후 땅이 얼기 전에 심는 가을심기와 이듬해 봄에 땅이 풀린 다음 심는 봄 심기가 있는데요, 겨울이 춥고 건조한 지역에서는 가급적 봄에 심는 것이 언 피해 등을 줄일 수 있으며, 봄 심기는 뿌리가 활동하기 이전인 이른 봄에 토양이 해빙되면 즉시 심어야 하는데, 늦어도 3월 중순 및 하순까지는 심어야 합니다 심는 시기가 늦어질수록 발아가 더디고 징상부 및 지하부 생육도 불량해집니다 봄에 심을 경우는 뿌리가 흙과 잘 밀착되도록 하고 뿌리가 보이지 않을 정도록 흙을 덮고 물을 10~20리터 준 다음 물이 흡수된 후 복토해야 생육이 좋아집니다.

 

3) 동계전정시 준수사항

과수화상병 등 주요병해의 사전 예방을 위하여 과수원을 청결하게 관리하여 과수원 출입용 신발과 작업복은 외부 활동용과 구별 사용 하도록 합니다 병해충 등으로 오염된 흙이 작업자의 신발 등의 매개로 인하여 기존 오염되지 않은 과원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주변 과수원 방문을 자제하며, 사용한 전정가위는 반드시 철저히 소독 후 다른 나무를 전정하는데 사용 하도록 합니다 과원마다 전정가위를 따로 구비하여 해당 과원에서만 사용하도록 하며, 농작업을 하는 사람(작업단)의 과수원 출입 시 작업도구를 반드시 소독하도록 합니다.

 

경농산업 전동가위 25mm, 35mm, 40mm 제품문의 010-4675-7713 / 출처-경농산업

 

4) 과종별 언 피해 사후관리 대책

 

※ 복숭아

지제부 수피 상태와 피해 정도에 따라 회복정도를 파악하고, 수피 대부분 갈변된 경우, 피해가 심한 나무는 묘목을 다시 식재하도록 합니다 수피 일부 갈변 또는 파열된 경우, 피해가 적은 나무는 파열부위를 밴딩 처리하도록 합니다 주간부는 수피에 동해 피해를 받은 경우 병해충 방제를 철저히 하고 수피 일부가 피해 받은 경우, 열매 달리는 양을 줄이고, 동해 피해로 인한 수세 약화로 인한 봄철 나무좀 등 해충방제를 철저히 하도록 하고 가지와 꽃눈 피해 정도에 따라 착과량을 확보해야 합니다 가지 정상, 꽃눈 대부분 피해일 경우에는 수세 안정을 위해 착과량 가능한 많이 확보하고, 가지 꽃눈 부분적 피해를 받았을 경우에는 착과량 확보 위해 적화, 적과 시기를 늦추어 실시하도록 합니다.

 

※ 사과

지제부 수피 상태와 피해정도에 따라 재정식 또는 살균제 도포를 할 수 있는데요 동해 피해가 심하게 나타나는 나무는 굴취하고 재정식 하도록 하며, 피해 가벼운 나무는 고사된 수피를 제거하고, 피해부 살균제를 도포하도록 합니다 주간부 나무 수세 확인 및 엽면시비를 통한 수세를 회복하고, 병해충 예방, 피해를 받아 수세 떨어진 나무는 꽃을 제거하여 결실을 최소화 합니다 요소 0.3% 또는 4종 복비를 엽면시비 하여 수세를 회복하고, 나무좀 트랩을 설치하여 나무좀으로 인한 2차 병해충 피해를 예방 하도록 합니다.

 

5) 동해 피해 육안감별 방법

과수나무 동해 피해 육안감별 방법 / 출처-농진청
과수나무 동해 피해 감별 방법 (육안) / 출처-농진청

728x90
반응형